육아 금융상담사 2014. 3. 15. 23:12
크룹은 아이들에게만 나타나는 병으로 한밤중에 느닷없이 일어나는 호흡곤란 발작을 가리킵니다. 일정 시간이 지나면 괜찮아 지지만 그 모습을 지켜본 부모에게는 무시무시한 기억으로 남는 발작입니다 크룹의 주된 원인은 바이러스이지만 때로는 세균이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후두에 염증이 생기면서 점막이 부어옴과 호흡곤란에 빠지는 것으로 다음과 같은 증상들이 나타납니다 크룹(급성폐쇄성후두염) 증상 한밤중에 개가 짖는 것처럼 컹컹대는 기침을 하기 시작합니다. 목이 쉬고 호흡할때 특히 숨을 들이쉴때 쌕쌕거리는 소리가 납니다. 처음에는 가볍게 쌕쌕거리지만 시간이 갈수록 점점 더 소리가 커져 주위 사람들에게도 똑똑히 들리게 됩니다 그러다가 갑자기 호흡곤란 증세를 보이며 괴로워하기 시작합니다. 열은 나지 않는 경우가 많으며 나..
육아 금융상담사 2014. 2. 20. 16:38
헤르페스바이러스에 처음감염되었을 때 가장 많이 나타나는 증상은 헤르페스 구내염입니다. 헤르페스 구내염은 포진성 구내염, 아프타성 구내염등으로도 불립니다 갑자기 고열이 나면서 입안에 물집이 잔뜩 생깁니다. 뺨 안쪽, 잇몸, 혀, 입술 등에 물질이 생겼다가 터지면서 질척한 상태로 변합니다. 잇몸은 부어오르고 음식물이 닿거나 손으로 건드리면 출혈을 일으키기도 합니다. 입술 전체에 물집이 생겨서 입을 열기조차 힘겨워 하는 아이도 있습니다 통증이 심하고 식욕도 떨어지며 기운이 없어 보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물은 마실 수 있으므로 링거를 맞거나 입원을 해야 할 만큼 심각한 상황에 빠지는 일은 거의 없습니다 10일 ~ 14일 정도 고생하고 나면 낫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항바이러스제인 조비락등이 도움이 되지만 발병 ..
육아 금융상담사 2014. 2. 19. 15:00
수두의 발병 형태는 크게 두가지로 나뉘어 집니다 첫번째는 38~39℃ 정도의 열이 난 후에 몸과 얼굴에 발진이 생기는 경우입니다 두번째는 열이 나지 않고 발진이 생긴 후에야 수두에 걸렸음을 알게되는 경우입니다 발진을 살펴보면 우선 첫날에는 피부 여기저기에 마치 벌레에 물린 자국 같은 붉은 반점이 생깁니다. 그러다가 이틀째가 도면 그 부분이 약간 부풀어 오르고 3일째가 되면 안에 물이 차 있는 물집으로 변합니다. 그리고 4일째에는 물집의 중심부가 검게 변하고 일주일후에는 까맣게 딱지가 집니다. 그 상태에서 다시 일주일이 지나면 딱지가 떨어지는데 그로부터 몇 달간은 희믜한 자국이 남습니다 수두는 가려운 것 이외에는 별다른 증상이 없는 가벼운 병입니다. 발진의 개수는 제각각으로 몇 개 밖에 나지 않는 아이도 ..
육아 금융상담사 2014. 2. 12. 02:00
돌발성발진의 원인은 바이러스 감염때문입니다. 현재까지 밝혀진바에 의하면 돌발성발진을 일으키는 것은 6형 헤르페스 바이러스와 7형 헤르페스바이러스입니다 각각의 바이러스로 인한 돌발성 발진은 한번 앓고 나면 일생동안 면역력이 유지됩니다 그러나 원인 바이러스가 두 종류이기 때문에 두번 앓은 아이들도 있습니다. 이 경우 처음에는 6형 헤르페스바이러스, 두번째는 7형 헤르페스 바이러스가 원인인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7형 헤르페스 바이러스에 의한 돌발성발진이 6형에 의한 돌발성발진보다 전반적으로 증상이 가벼운 경향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아이들이 두 돌 이전에 돌발성 발진을 경험합니다. 바이러스에 감염되어도 발병하지 않는 소위 불현성감염의 형태를 취하는 이들도 있습니다. 게다가 열만 나고 발진이 생기지 않거나 발진만 ..
육아 금융상담사 2014. 2. 11. 21:40
돌발성 발진이란 생후 6개월에서 24개월 무렵의 아기들이 주로 걸리는 고열을 동반하는 질병의 대표주자 입니다. 아기가 태어나서 처음으로 또는 두번째로 고열이 날때는 돌발성 발진 때문인 경우가 많습니다 돌발성 발진의 증상으로는 3~5일 동안 체온이 계손 38.5℃ 이상을 유지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발열과 설사 이외에는 별다른 증상이 없습니다. 기분도 괜찮고 식욕도 평소와 별 차이가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계속 짜증을 내며 보채는 아이들도 있습니다 아직 어린 아기의 머리가 펄펄 끓으니 주위 어른들은 어찌할 바를 모르고 허둥대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아기는 계속 열이 나는데도 불구하고 평소처럼 태연하게 생활합니다. 그렇게 나흘 정도 지나고 나면 갑자기 열이 떨어집니다. 그리고 다시 12시간쯤 지나면 가슴..
육아 금융상담사 2014. 1. 30. 22:02
수뇨관과 방광이 연결되는 부위에 이상이 생겨 방광에 차 있는 소변이 수뇨관으로 더 심하게는 신장으로 역류하는 현상을 방광요관 역류증이라고 합니다 수뇨관과 방광의 연결 부위는 판막형태로 되어 있어 방광으로 들어간 소변이 수뇨관으로 역류하지 못하도록 막습니다 .하지만 그 부분이 선천적으로 약하면 역류가 일어날 수 있습니다 방광에는 때때로 세균이 침입하지만 발병하는 경우는 많지 않으며 만약 발병하더라도 방광염에 걸리는 수준입니다. 그리고 방광염은 쉽게 치료할 수 있는 가벼운 병입니다 하지만, 방광요관 역류증이 있으면 세균이 소변과 함께 신장으로 흘러 들어가 신우신염을 일으킬수도 있습니다. 신우신염은 방광염과는 달리 심각한 병이므로 되도록 감염을 피해야 합니다 방광요관 역류증으로 인해 반복적으로 신우신염에 걸리..
육아 금융상담사 2014. 1. 23. 12:27
담도란 간에서 분비되는 담즙이 장으로 이동하는 통로를 가리킵니다 담도는 간 내부로부터 시작됩니다 첫 시작은 담관이라고 하는 좁은 관이지만 나중에는 이 담관들이 합쳐지면서 하나의 큰 관을 이루어 간 밖으로 뻗어나갑니다 간 내부의 담관을 간내담관 간 외부의 담관을 간외담관이라고 합니다 그중 간외담관이 막혀 있는 상태를 담도폐쇄증이라고 하며 신생아의 경우에는 선천성 담도 폐쇄증이라고 합니다 비교적 많이 알려지긴 했지만 실제 발생빈도는 신생아 만 명당 한 명꼴에 불과한 희귀한 질환입니다
육아 금융상담사 2014. 1. 22. 11:36
팔로 사징증 청색증을 일으키는 선천성 심장병 중에서 가장 흔한 병입니다. 심실중격 결손, 폐동맥 협착, 우심실비대, 대동맥 기승이라는 네가지 이상이 함께 나므로 사징증이라고하며 거기에 최초로 이병을 보고한 의사의 이름을 붙여 팔로사징증이라고 부릅니다 페동맥 협착이란 우심실에서 폐동맥으로 이어지는 부분이 태생적으로 좁다는 뜻이며, 우심실 비대란 우심실의 크기가 비정상적으로 크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대동맥 기승이란 심실중격 결손증이 있기 때문에 대동맥이 우심실 쪽으로 치우쳐 있는 상태를 가리킵니다 청색증은 생후 수개월 안에 나타납니다. 이른 아침에 많이 나타나며 자다가 깼을 때나 울때, 대변을 볼때, 젖을 먹은 후에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수술을 하지 않을 경우 열살 까지 생존할 확률이 30%이므로 반드시..
육아 금융상담사 2014. 1. 21. 17:51
청색증이 나타나지 않는 선천성심장병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심실중격 결손증 좌심실과 우심실 사이를 막고 있는 중간 칸막이가 심실주역입니다. 이 심실중격에 구멍이 뚤려 있는 상태를 심실중격 결손증이라고 합니다. 선천성 심장병 중 거의 절반이 여기에 해당할 만큼 발생 빈도가 높은 질환입니다. 심실중격은 막양부, 유출로, 유입로, 근성부라는 네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중 막양부 결손이 가장 흔하며 그 다음으로 가장 많은 것이 유출로 결손입니다. 결손부(구멍)가 작은 경우에는 아이가 성장하면서 자연스럽게 닫혀 갑니다. 이 경우에는 일단 특별한 조치 없이 경과를 지켜보도록 합니다. 그러나 결손부가 큰 경우에는 수술을 받아야 합니다 심방중격 결손증 우심방과 좌심방 사이의 칸막이인 심방중격에 구멍이 나..
육아 금융상담사 2014. 1. 20. 14:22
선천성 심장병은 청색증이 나타나는 청색증형 심장병과 청색증이 나타나지 않는 비청색증형 심장병으로 구분할수 있습니다. 청색증형 심장병을 가진 아이는 입술이나 손발 끄트머리가 푸르스름한 빛을 띠는데 이 것이 바로 청색증 현상입니다. 그럼 어째서 청색증 현상이 나타날때 입술이 푸르스름해지는지 그 이유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리 몸속을 흐르는 혈관에는 동맥과 정맥이 있습니다. 동맥을 흐르는 혈액은 선홍색인 반면 정맥을 흐르는 혈액은 거무튀튀한 빛을 띱니다. 피부 속으로 파랗게 비쳐 보이는 혈관은 정맥입니다. 정맥을 흐르는 혈액 속에는 산소가 적고 이산화탄소가 많기 때문에 푸르스름한 빛을 띠는 것입니다 그런데 일부 선천성 심장병의 경우 동맥혈과 정맥혈이 뒤섞이는 현상이 나타납니다. 폐동맥 폐쇄증이나 중증 폐동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