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 금융상담사 2014. 6. 5. 16:22
협심증으로 흉통이 생겼을 때 응급약으로 사용할수 있는 속효성 니트로글리세린 제제로는 복용 형태에 따라 혀 밑에 넣어서 사용하는 설하정과 뿌리는 스프레이 제품이 있습니다. 흉통 발작시에 속효성 니트로글리세린 제제의 효과는 수십 초에서 수분 내에 나타나는 것이 보통이며 5분이내에 통증이 완화되지 않으면 반복해서 사용할수 있습니다. 흉통이 20분 이상 지속될 때에는 불안정형 협심증이나 심근경색증으로의 이행을 의심하고 신속하게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약효가 유지되는 보관 기간은 설하정은 3개월정도이고 스프레이 제제는 이보다 길어 개봉한 후에는 1년, 개봉하지 않았을때는 3년정도 됩니다. 설하정을 복용할 때는 약을 삼키지 말고 혀 밑에 넣어 녹이되 다 녹을 때까지 침을 자주 삼키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혀..
건강정보 금융상담사 2014. 5. 16. 08:00
협심증검사 : 관상동맥CT조영술 최근 CT(전산화 단층 촬영) 분야의 기술이 비약적으로 발달하면서 과거 혈관 안에 도관 삽입을 통해서만 가능했던 관상동맥 조영술이 CT를 통해서도 가능해 졌습니다. CT조영술은 기본적으로 복부CT, 흉부CT등 일반적인 CT와 같은 원리로 이루어지지만 기술의 발달로 이제 조그만 혈관까지 정확하게 관별할수 있는 단계에 이르렀습니다 외래 진료로 비교적 쉽게 검사할 수 있고 도관 삽입등 침습적인 시술 과정이 없다는 큰 장점이 있습니다. 기술의 발달에 따라 검사의 정확성이 계속 높아지고 있기는 하지만 아직 전통적인 관상동맥 조영술에는 미치지 못할 뿐더러 스텐드 삽입술등 치료를 병행할수 있는 전통적인 관상동맥 조영술과는 달리 오직 진단만 할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협심증검사 : ..
건강정보 금융상담사 2014. 5. 14. 02:00
협심증검사방법 - 핵의학스캔이란 특정한 방사성 동위원소를 정맥에 주사한 후 심장 근육의 생존 상태 즉, 심장근육의 생존여부를 평가하는 방법입니다. 이 검사에 사용되는 동위원소는 살아 있는 심장 근육에만 흡수되어 심장 근육의 생존 상태를 알려줍니다. 운동부하나 약물등으로 협심 상태 즉, 심근허헐(빈혈) 상태를 유도하면 심장 근육에 흡수되지 않다가 심장이 안정되어 심근 허혈 상태가 풀리면 같은 자리에 다시 동위원소가 흡수되어 협심증 진단 뿐만 아니라 심근 허혈의 부위와 정도를 정확히 평가하게 합니다. 따라서 운동부하시와 안정시에 촬열을 두번해야 합니다. 한번 검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은 20여 분 정도이며, 첫번째 촬영후 4~5시간 정도 후에 두번째 촬영을 해야 합니다
건강정보 금융상담사 2014. 5. 9. 01:00
심장초음파검사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심장의 전체적인 모양이나 판막의 구조, 심장근육의 두께등을 측정하고 심장의 수축력을 실제 모습으로 볼수 있는 비교적 손쉽고 유용한 검사입니다. 안정형 협심증은 안정시 심장 초음파 결과에는 뚜렷한 이상 소견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러나 심한 협심증이 있거나 전에 심근경색증을 앓았던 환자들은 심장 근육의 일부가 기능적으로 상하거나 죽어 있기 때문에 심장 초음파상 국소적인 수축장애를 관찰할수 있어 협심증 검사에 도움이 됩니다 안정시 정상 심장 초음파 소견을 보이는 협심증은 운동 부하 심전도 검사와 마찬가지로 운동 부하나 스트레스를 심장에 주어 협심 상태 즉, 근육의 빈혈상태를 만들어 그 부위에 해당하는 국소적인 심장 벽의 수축 운동 장애를 관찰함으로써 진단이 가능합니다..
건강정보 금융상담사 2013. 12. 30. 17:25
흉통이 안정시에도 발생하거나 빈도가 잦아지거나 흉통이 유발되는 운동의 강도가 시간이 갈수록 작아지는 것이 특징이다불안정형 협심증이란 말 그대로 안정형 협심증 환자의 증상이 불안정해 진것을 말합니다. 불안정 협심증이 생기면 운동 시에만 생기던 흉통이 운동에 관계없이 안정 시에도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흉통의 빈도가 잦아지고 기간이 길어지며 니트로글리세린 설하정으로도 흉통이 잘 없어지지 않게 됩니다. 대개는 안정형 협심증이었던 환자들이 이 질환으로 악화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임상적으로 최근 1개월 안에 처음으로 진단된 협심증이나 아주 작은 운동량에도 흉통이 발생하는 경우를 불안정형 혐심증으로 간주합니다 안정형 협심증 환자의 증상이 불안정해지는 이유 죽상경화증으로 인해 관상동맥이 좁아진 정도에 상관없이 죽상경화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