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음식 금융상담사 2015. 6. 12. 16:33
취나물 취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일본과 중국에 분포한다. 한자명은 동풍채근, 산백채, 백지초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전국의 산야에 자생하며 어린잎을 식용한다. 채취시기는 울릉도가 5월말 ~ 6월 초순, 강원도 7~8월경, 전라도 9월경, 하우스재배는 11~12월경이다 나물에 쓸 때는 잎을 넣고 약용으로는 뿌리를 이용한다. 옛날에는 구황식량으로 먹었다. 종류로는 참취, 곰취, 개미취, 미역취, 수리취등이 있다. 그중 많이 알려진 것이 참취와 곰취이다 취나물 효능 및 성분 취에는 무기질 중 Ca, K, P, Fe, 비타민B1, B2, 나이아신 성분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단백질은 아미노산 조성이 우수하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으며 항산화력이 뛰어나다. 감기, 두통, 근육통, 진통, 관절염, 장염, 가래와 기침..
건강정보/음식 금융상담사 2015. 6. 11. 17:07
머위 머위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원산지는 유럽, 아시아, 북아메리카이다. 15~20종이 자생하고 있으며 한국과 일본 등지에도 분포한다. 속명인 Petasites는 챙이 넓은 모자라는 뜻의 그리스어로 머위의 큰잎 때문에 유래되었다. 한자명은 곡동, 관동, 봉두채이며 우리나라에서는 머우 또는 머구라고도 한다 전국의 논둑, 밭둑, 습지등 수분이 많은 곳에서 자라며 민가의 장독대나 울타리 밑에 심어 재배한다. 일본에서는 후끼라고 하여 산채중 제일이라고 할 정도로 애용하며 중국에서도 봉두채 또는 사두채라고 불리며 나물로 이용한다. 유사종으로 개머위와 털머위가 있다 머위 효능 및 성분 머위는 비타민A, Ca, Fe성분이 많은 알칼리성 식품이다. 머위는 잎과 잎줄기, 꽃봉오리의 맛이 매우 쓴데 이 쓴맛을 내는 페..
건강정보/음식 금융상담사 2015. 6. 9. 16:31
달래 달래는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한국, 일본, 중국 동북부 지역에 분포하며 산과 들에서 자란다. 마늘과 비슷한 냄새와 매운맛이 있어 작은 마늘(소산)이라고 한다. 잎과 작은 알뿌리를 식용한다. 이른 봄 가장 일찍 돋아나는 봄나물로 요즘은 연중 재배한다 달래 효능 및 성분 달래는 파보다 Fe, Ca, 비타민A,B2,C 성분이 많다. 마늘과 파는 산성식품인데 비해 달래는 P보다 Ca,Fe성분이 많아 알칼리성 식품이다. 비타민C가 풍부하여 상처 회복과 스트레스 해소에 효능이 좋으며 부신피질기능을 원활하게 한다. 자궁출혈, 월경불순 예방에 좋다. 매운맛은 알리신 성분때문이다. 빈혈과 심혈관질환 예방, 강장, 건위에 도움이 되며 한방에서는 수채엽이라 하여 불면증 치료에 효능이 있어 이용되어 왔다 생으로 무쳐 ..
건강정보/음식 금융상담사 2015. 6. 7. 14:32
돌나물은 돌나물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돈나물이라고도 한다. 한자명은 불갑초, 별명은 석채로 전국의 양지바른 돌에서 많이 자라 돌나물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돌나물 효능 및 성분 동나물은 Ca이 250mg%로 풍부하며 비타민C성분도 비교적 많다. 특수 성분으로 세도헵툴로오스가 있다. 한방에서는 불갑초라고 하여 해열, 해독, 타박상, 간경변증과 뱀에 물린데 효능이 있다고 한다. 돌나물은 식이섬유가 적고 비타민C와 인산이 풍부한데 새콤한 신맛까지 있어 식욕을 촉진하며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추어 주는 효능이 있어 성인병을 예방한다 어린줄기와 잎을 물김치, 겉절이, 무침, 나물등으로 이용한다. 잎이 무르지 않고 형태가 뾰족하며 통통한 것이 좋다. 돌나물은 풋내가 많이 나므로 싱싱한 것을 골라 깨끗하게 다듬은후 으깨지지 않..
건강정보/음식 금융상담사 2015. 6. 5. 14:24
참나물 참나물은 산형과(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한국, 일본, 만주일대, 유럽에 분포한다. 셀러리와 미나리의 향을 합친 듯한 냄새가 나며 반디나물(파드득나물), 거린당이, 머내지라는 별명이 있다. 유사종으로 파드득나물과 일본에서 많이 이용하는 미쓰바등이 있다 참나물 효능 및 성분 참나물에는 비타민A의 함량이 매우 높으며 무기질중에는 Ca, K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참나물은 지혈과 해열에 효능이 있을뿐만 아니라 고혈압과 중풍을 예방하고 신경통과 대하증에도 효능이 있습니다. 잎이 선명하고 진한 녹색인것, 줄기가 연하고 부드러운것, 향이 강한것이 좋다. 나물로는 어린순을 채취하여 이용하며 생채를 고추장에 찍어 먹거나 무침, 볶음, 튀김, 김치등으로 조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