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위 효능 및 머위 성분

머위

머위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로 원산지는 유럽, 아시아, 북아메리카이다. 15~20종이 자생하고 있으며 한국과 일본 등지에도 분포한다. 속명인 Petasites는 챙이 넓은 모자라는 뜻의 그리스어로 머위의 큰잎 때문에 유래되었다. 한자명은 곡동, 관동, 봉두채이며 우리나라에서는 머우 또는 머구라고도 한다

전국의 논둑, 밭둑, 습지등 수분이 많은 곳에서 자라며 민가의 장독대나 울타리 밑에 심어 재배한다. 일본에서는 후끼라고 하여 산채중 제일이라고 할 정도로 애용하며 중국에서도 봉두채 또는 사두채라고 불리며 나물로 이용한다. 유사종으로 개머위와 털머위가 있다

머위 효능 및 성분

머위는 비타민A, Ca, Fe성분이 많은 알칼리성 식품이다. 머위는 잎과 잎줄기, 꽃봉오리의 맛이 매우 쓴데 이 쓴맛을 내는 페타시틴, 아이소페타시틴, 퀘세틴, 켐페롤등과 플라보노이드, 트라이터펜, 사포닌등 특수 성분이 많다

머위는 예로부터 관동이라고 하여 현기증, 기관지천식, 인후염, 편도선염, 축농증, 진통, 벌레나 뱀에 물렸을때 효능이 있었다고 한다. 다래끼등의 치료제로 한방에서 널리 쓰인 약재이기도 하다. 페타시틴 성분은 뇌졸증에 효능이 있다. 꽃 이삭은 식용하거나 진해제로 사용한다

머위 줄기는 살짝 데친후 무침으로, 어린 꽃은 튀김으로, 잎은 삶아서 쓴맛을 제거한후 쌈으로 이용한다. 나물로 무칠때 들깨가루나 들기름을 넣으면 더욱 맛있다. 그 밖에 녹즙과 샐러드로도 쓰인다

머위는 봄철 새잎이 자란 것으로 줄기 한가운데가 연하고 단맛이 있어야 좋다. 잎은 힘이 있어야 하며 녹색이 진하고 황갈색으로 변색되지 않은 것이 신선하다. 뿌리쪽을 쥐고 수평으로 들어 보았을때 휘는 정도로 잎의 힘을 판단한다. 줄기가 너무 굵으면 심줄이 많고 구멍이 있으며 너무 가는것도 좋지 않다.

'건강정보 > 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곰취 효능 및 성분  (0) 2015.06.13
취나물 효능 및 성분  (0) 2015.06.12
달래 효능 및 달래 성분  (0) 2015.06.09
돌나물 효능 및 성분  (0) 2015.06.07
참나물 효능 및 성분  (0) 2015.06.05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