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출산/임신 금융상담사 2015. 2. 2. 02:30
자궁 경부의 문제는 자궁 경부의 점액이 정자에 비호의적이고 적대적일 때 나타난다. 이것은 불임 요인 중 10%를 차지한다. 여기에 해당하는 위험요소는 다음과 같다 합성 호르몬제를 복용한 적이 있을 때 자궁경부 시술을 받은적이 있을때(냉동치료나 자궁경부 원추절제술) 경부 외상이나 만성 자궁 경부염을 앓은 적이 있을때 자궁 경부 점액을 평가하는 성교 후 검사는 배란기에 잠자리를 한이후 실시한다. 성교후 검사에서는 다음의 요소를 고려한다. 자궁 경부 점액의 상태를 확인한다. 점액이 달걀흰자처럼 미끄럽고 투명하면 임신이 된것이다. 현미경 고배율에서 보이는 정자 수도 평가하는데 고배율에서 정자 수가 5~10이상이면 적당하다 퍼닝 자궁경부의 점액을 슬라이드에서 건조시킨후 그모양을 확인하여 점액에 에스트로겐 수치가 ..
임신,출산/임신 금융상담사 2015. 2. 1. 14:30
불임 여성 가운데 20%는 배란이 잘 되지 않거나 전혀 되지 않는다. 월경이 불규칙한 경우(너무 자주하거나 지나치게 드물게 하고 월경기간이 긴 경우)는 배란에 문제가 있음을 의미한다. 배란 문제는 기초 체온표나 배란 진단키트를 이용해서 진단한다. 월경 3~5일째에 갑상선 호르몬, 난포 자극 호르몬, 프로락틴등의 검사를 해보면 뇌에서 호르몬 분비에 문제가 있어 난소가 기능 부전상태로 빠지는 경우가 있다. 배란 부전의 치료 배란을 유도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으며 각각의 방법에는 부작용이나 위험성이 따른다. 따라서 자신과 배우자에게 알맞은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배란유도 방법 클로미펜 클로미드 또는 클로미펜 시트르산염이라고도 하며 약간의 도움으로 배란 가능성이 있을때 사용한다. 경구용 제재로 되어 있..
임신,출산/임신 금융상담사 2015. 1. 28. 15:37
일반적으로 남성불임 검사를 할때 먼저 이전 성생활에 대한 자세한 문진과 기본적인 혈액검사와 정액검사 자료가 필요하다. 정자는 본능적으로 목표지점(난자)을 파악하고 그 목표를 향해 나아간다. 즉 여자의 자궁 안으로 들어가서 난자를 향해 나아가는 것이다. 정자 수가 정상보다 적거나 거의 없다고 해도 절망할 필요는 없다. 남성을 위한 불임 기술이 발달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중 인공 수정은 운동성이 좋은 정자를 여자의 자궁 내에 넣어주는 시술로 자궁강 내에 직접 정자를 넣어줌으로써 정자가 자궁 경부를 통해 들어가기 힘들거나 끈적한 경부점액이 정자의 운동을 방해하는 경우에 효과적이다. 시험관 아기 시술에서는 ICSI라고 불리는 또 다른 불임 기술이 사용되는데 이 방법은 정자들 중에서 가장 건강한 정자를 골라내어 ..
임신,출산/임신 금융상담사 2015. 1. 27. 02:00
정자 수가 적거나 정자 모양이 비정상적인 경우가 전체 불임 문제의 35%를 차지한다. 남성 불임의 원인은 다음과 같다. 호르몬 문제로 인해 건강한 정자가 잘 만들어지지 않는 경우,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의 분비가 불충분하거나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이나 프로락틴의 과다 분비가 원인이된다. 또 뇌종양이나 외상 등으로 인해 남성 생식계에 호르몬의 변화가 일어나 발생할 수도 있다. 정자가 만들어지고 성숙하는 과정을 거치는 동안 정자의 통로가 폐쇄되는 경우, 이런 폐쇄는 선천성 기형인 경우도 있고 수술(정관수술)이나 클라미디아에 의한 감염(여성이 클라미디아 치료를 받지 못하면 난관이 막히게 되는 것처럼), 또는 외상(자동차 사고로 인한 골반 골절 같은 외상)에 의해서도 발생할수 있다. 정자가 정상적으로 운동..
임신,출산/임신 금융상담사 2015. 1. 26. 16:43
자궁외 임신은 태아가 자궁 밖에 착상하여 자라는 것을 말한다. 가장 빈도가 높은 곳은 난관이다. 지난 20년간 자궁외 임신이 증가해왔는데 그 이유는 성병의 증가와 불임 시술의 발달 때문으로 보여진다. 질병관리본부에서는 500번의 임신중 한번이 자궁외 임신이라고 보고하고 있다. 과거에는 자궁외 임신이 되었어도 난관이 파열될때까지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최근에는 초음파 검사를 조기에 실시함으로써 자궁외 임신의 진단이 빨라졌고 보다 안전한 임신이 가능해졌다. 자궁외 임신의 가장 흔한 증상은 하복부 통증과 복강 내로의 출혈 또는 질 출혈이다. 임신 초기에 이런 증상을 느낀다면 주치의는 베타 융모 성선호르몬을 살펴볼것이다. 정말 임신이면 48시간에 2배 이상 증가하지만 자궁외 임신은 아예 떨어지거..
임신,출산/임신 금융상담사 2015. 1. 25. 17:06
[성병]매독 트레포네마 팔리듐이라는 세균에 의한 간염으로 예전에는 가장 흔한 성병의 하나였지만 페니실린이 발명된 후에 1990년대에 다시 유행하기 전까지는 급격히 줄어들었다. 특히 산모가 임신 1분기에 매독에 걸렸을 때는 태아의 성장과 발달에 영향을 끼칠수 있다. 그러므로 임신 전에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고 임신 중에 매독 환자와 접초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매독은 음경이나 외음부에 무통성의 병변이나 관절통, 열, 발진이 나타나거나 또는 증상이 없을수도 있다. [성병]헤르페스(HSV) 대체로 구강과 생식기, 생식기와 생식기의 접촉으로 전파된다. 구강 쪽에 감염되는 경우는 단순 포진 바이러스1형으로 덜 공격적이다. 단순 포진 바이러스 2형은 생식기끼리의 접촉으로 감염된다. 처음에는 접촉후 10~30일 뒤에 ..
임신,출산/임신 금융상담사 2015. 1. 24. 15:31
임신에 방해가 되지는 않지만 흔한 성병중 하나다. 성적으로 호라발한 남성이나 여성 10명 중 7명에게서 발견되는 바이러스다. 이 바이러스에 노출되거나 감염된 적이 있는 여성은 30%가량이 자궁경부 세포검사(자궁경부암검사)에서 비정상적인 결과가 나타난다. 그중 30%에서는 콘딜로마(곤지름)라는 바이러스성 사마귀가 회음부에 생기기도 한다. HPV와 관련된 문제는 불임이 아니라 자궁 경부암에 대한것이다. 자궁경부암의 93%에서 HPV 고위험군이 발견된다. 자궁 경부암의 위험성이 있다면(자궁 경부암 검사에서 두번 이상 계속해서 이상 소견이 발견되는 경우) 콜포스코피라고 하는 자궁 경부 확대경 검사와 조직 검사를 받아야 한다.이는 임신 전이나 임신중, 그리고 분만 후에 상관없이 시행해야 하는 검사이다. HPV와 ..
임신,출산/임신 금융상담사 2015. 1. 23. 04:30
클라미디아 가장 흔한 세균성 성병이다. 감염되었을 때 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고 질 분비물이 많고 골반에 불편을 느끼기도 한다. 남성의 경우는 음경의 자극, 요로의통증, 음경의 붉어짐(발적) 등의 증상이 있거나 증상이 아예 없을수도 있다. 자궁 경부나 음경 끝에서 면봉으로 분비물을 채취하여 배양하는 것으로 진단 가능하다. 자궁경부염, 난관염, 요도염 등을 일으킬수 있다. 장기적 합병증인 골반염이나 골반통, 난관 폐쇄 등의 발병을 줄이기 위해서는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클라미디아라고 진단되면 주치의는 당신에게 주의를 주고 당신과 배우자 모두에게 치료를 권할 것이다 고노리아(임질) 클라미디아 다음으로 흔한 세균성 성병이다. 대개 자궁 경부에 감염을 일으키는데 남성이나 여성 모두에서 구강이나 요도, 항문에 ..
임신,출산/임신 금융상담사 2015. 1. 22. 16:51
근종은 가임기 여성에게 비정상적인 출혈을 일으키는 가장 많은 원인을 제공하는 질환이다. 의학계에서는 근종의 원인이나 다른 호르몬의 불균형이 어떻게 일어나는지에 대해서 아직 모르고 있다. 의사들은 골반 내진이나 초음파로 근종을 진단하며 근종의 크기나 위치등으로 불임이나 임신에 영향을 미칠수 있는지를 판단한다. 치료는 환자별로 증상의 정도나 임신을 원하는지의 여부, 근종이 자라는 속도등에 따라 달라진다. 임신 전에 증상이 전혀 없었고 근종이 다른 기관을 압박하지 않는다면 별다른 치료 없이 관찰할 수도 있다. 그러나 임신이 잘 되지 않거나 다른 문제가 있으면서 내진에서 근종이 의심되면 검사를 받아야 한다. 초음파 검사나 자궁 난관 조영술(HSG)을 시행하면 자궁강 내부를 각각 초음파와 엑스선으로 영상화하여 관..
임신,출산/임신 금융상담사 2015. 1. 21. 16:01
월경의 양이 많고 월경을 너무 자주 하는것이 문제인 여성이 있다. 이 경우 호르몬 불균형이 원인이기도 하지만 비정상적인 자궁 출혈의 대부분은 자궁에 문제 가 있는 경우가 많다. 월경의 양을 많게 만드는 자궁 이상은 다음과 같다 자궁근종 자궁 평활근에 생기는 종양으로 자궁 바깥쪽 또는 자궁벽이나 자궁강 안으로 자랄 수 있다. 근종은 대부분 양성이며 에스트로겐의 영향을 받는다. 그래서 에스트로겐 농도가 높게 유지되는 임신 시에 크기가 커지기도 한다. 가임기 여성의 20%가 근종을 가지고 있다 폴립 자궁 내막에서 손가락 모양으로 자라는 종양으로 대부분이 양성이다. 난관을 막아서 불임을 일으키거나 유산의 위험을 높인다. 초음파나 자궁경으로 진단하며 특별히 문제가 없다면 그냥 두고 그렇지 않으면 자궁경 시술로 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