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이형협심증증상 및 원인

변이형협심증은 일반적인 협심증처럼 동맥경화나 혈전으로 혈관이 막히는 것이 아니라 이따금씩 혈관에 경련이 생겨 흉통을 유발합니다

 

 

변이형협심증증상과 일반 협심증의 차이점

변이형 협심증의 증상은 흉통이 새벽 혹은 아침에 자주 나타나며, 운동 여부와 관련 없이 통증이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안정형 협심증이 운동 시에 흉통을 유발하는 것에 반해 매우 상반되는 현상입니다. 변이형 협심증은 전형적인 협심증과 양상이 다르므로 흔히 신경성이나 위장 관계 질환으로 오진하기 쉽습니다.

 

 

변이형협심증의 원인

변이형 협심증의 직접적인 원인은 관상동맥의 경련입니다. 주로 새벽에 흉통이 생기는 이유는 밤새 안정되어 있던 자율신경계의 균형이 새벽녘에 깨어지면서 혈관이 수축되는 정도가 커지기 때문입니다. 특히 흡연, 과음 등이 혈관의 내피세포를 손상시켜 혈관 경련을 유발하기도 합니다.

혈관의 내피세포는 여러가지 중요한 물질들을 피 속으로 분비시켜 혈관을 확장시키고 혈관 벽의 혈전을 방지하는 아주 중요한 혈관 보호 작용을 합니다. 이러한 혈관 내피층이 손상되거나 보호 기능이 떨어지면 스트레스나 자극에 의해 혈관이 심하게 수축하게 됩니다

 

 

변이형협심증의 진단

변이형 협심증은 특징적인 병력으로 어느 정도 진단이 가능합니다. 진단 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다른 병이 아닌지 확인 하는 절차입니다. 병력을 듣는 것만으로는 진단이 확실하지 않고 증상이 심한 경우라면 위 식도 질환이나 일반적인 협심증 등은 아닌지 그에 맞는 검사를 하여 확인해야 합니다.

확진이 필요하다면 입원하여 특수 약물인 에르고노빈을 이용한 관상동맥 조영술을 시행해 봐야 합니다

 

 

변이형협심증의 치료

변이형 협심증은 약물 치료에 반응이 좋아서 약만 잘 복용해도 장기적으로 경과가 양호합니다. 꾸준한 약물 투여후에 경련이 발생하지 않으면 스스로 약물을 끊는 환자도 있는데 혈관 경련의 활성이 아직 남아 있는데도 임의로 약을 끊을 경우 상대적으로 심한 혈관 경련이 일어나서 심근경색증이나 심장 마비를 일으킬수 있기 때문에 약물 중단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변이형 협심증은 서양에 비해 특히 한국, 일본에 흔한 협심증의 형태로 약물 투여 및 적극적인 치료를 필요로 합니다. 환자에 따라 증상이 다양할수 있지만 전형적으로 술 마신 다음 날 아침에 흉통이 발생합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생아 구토 : 비후성 유문 협착증  (0) 2014.04.18
관상동맥질환 심전도검사  (0) 2014.04.17
심근경색증 증상 및 진단  (0) 2014.04.06
협십증과 심근경색증 차이점과 원인  (0) 2014.04.05
백일해 증상  (0) 2014.03.21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