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정보/음식 금융상담사 2013. 10. 7. 13:12
메밀 효능 및 효과 메밀은 찬 성질이 있고 단맛을 내며 비장, 위장, 대장의 기능을 왕성하게 한다 메밀은 잡곡이긴 하지만 쌀과 밀가루에 비해 단백질 함량이 아주 높으며, 특히 인체에 필수적인 리신과 아르기닌이 풍부하다. 또 한가지 메밀의 가장 뛰어난 효과는 다름 아닌 소화를 돕는다는 점인데 다른 일반 곡류와는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로 소화력이 뛰어나다 메밀에는 아홉가지 지방산이 함유되어 있는데 대부분이 인체에 유익한 리놀산과 올레인산이다. 이 밖에 비타민B, 루틴, 엽산 및 인, 철, 마그네슘등과 같은 무기염류를 다량함유하고 있다. 단백질 함유량은 7~13%, 지방 함유량은 2~3%이다. 메밀의 효과는 장을 튼튼하게 하고 기를 복돋우며, 체하거나 소화 부량일때 효과적이다. 항균과 소염 작용이 뛰어나고 기..
육아 금융상담사 2013. 10. 6. 14:28
아이 정상 체온 과 열 우리 몸의 정상 체온은 37℃이지만 오후 4시에는 높게, 오전 4시에는 낮게 측정될수 있습니다. 6개월 미만의 아이는 체온의 변동 정도가 아주 작지만, 6개월 에서 2세는 0.5℃, 2세 이상은 10℃ 정도가 차이가 나기도 합니다. 또한 아이들은 활발한 육체적 활동, 감정적인 흥분 상태, 식사중, 옷을 많이 입은 경우, 장소등 체온이 올라갈 수 있는 여러 가지 상황이 있으므로 체온을 젤때 고려해야 합니다 기존 체온보다 높을 때 열이 난다고 해요 적외선 고막 체온게로 측정했을 때는 38℃ 이상이면 열이 있다고 볼수 있습니다. 이처럼 체온은 새로 설정된 기준 체온을 중심으로 오르락내리락하기 때문에 열이 오르더라도 약간 변동이 있을뿐 시상하부에 심각한 손상이 있지 않은 한 무한정 올라가..
육아 금융상담사 2013. 10. 4. 16:31
[사경]아이 얼굴이 비딱해요 목의 일부 근육이 뒤틀려 머리가 한쪽으로 기운 것을 사경 또는 기운목이라고 합니다 보통 머리가 한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기울어 있고 턱은 그 반대 반향으로 돌아가는 증상을 보입니다 엄마는 흔히 아이가 한쪽 방향만 쳐다볼 때 사경이 아닌지 걱정하는데 아이가 흥미로운 것을 보려고 다른 쪽을 바라보기도 한다면 사경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사경의 가장 흔한 원인은 목 부위에 있는 근육인 흉쇄유돌근의 손상으로 손상된 쪽의 근육이 수축되어 머리가 기울고 턱이 자연스럽게 반대 방향으로 향하는 증상을 말합니다. 이를 선천성 근성 사경 이라고 합니다 사경 증상은 생후 6~8주부터 두드러지게 나타나는데 아픈 아이의 50%는 생후 한달 경에 목에서 멍울이 만져져 발견되기도 합니다. 이 멍울은 자궁 ..
육아 금융상담사 2013. 10. 3. 15:12
신생아 황달은 어떻게 알아볼수 있을까요? 황달은 눈으로 판단할수 있는데, 더 정확한 방법은 피부를 살며시 눌러보는 것입니다. 황달이 있다면 누른 부위의 피부에도 노란빛이 남아 있지만, 원래 피부가 노랗다면 누른 부위의 피부가 하애 보입니다. 이 방법은 밝은 낮에 햇볕 아래에서나 환한 불빛 밑에서 확인을 해야 정확하게 알 수 있습니다. 아이가 황달이 나타나면 얼굴, 몸, 다리의 순서로 피부가 노랗게 변합니다. 눈의 흰자위가 노란빛을 많이 보이는 것은 황달 수치가 높기 때문이므로 진찰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생후 2~3주 이후에도 황달이 사라지지 않는다면 병원에서 황달 수치를 확인해야 합니다. 황달 수치는 피를 뽑거나, 발끝에서 말ㅊ 혈액을 채취해서 확인하는 것이 정확하지만, 최근에는 피를 뽑지 않고 기계를..
육아 금융상담사 2013. 10. 2. 15:13
신생아 탯줄관리 탯줄이 떨어진후 진물과 염증[배꼽 육아종) 탯줄이 떨어진 뒤에 약간의 분비물은 수일 내에 사라집니다. 하지만 탯줄이 떨어진 부위가 튀어나와 보이고, 분비물이 계속 나오면 감염이 반복될 수 있습니다. 이를 배꼽 육아종이라고 하는데, 탯줄이 아무는 과정에 잡균이 감염되어 생깁니다. 증상은 맑은 노란색의 점액농분비물이 나오며, 분홍색의 육아직이 돌출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배꼽 탈장 배꼽 주위의 복벽 근육이 완전히 닫히지 않아서 그틈으로 장이 삐져나오는 현상을 배꼽 탈장이라고 합니다. 신생아에게 흔하게 나타나는 질환으로, 특히 미숙아에게 더 많이 발생합니다. 아이가 심하게 울 때 배꼽이 블룩 튀어나와 보인다면 배꼽 탈장을 의심해봐야 합니다. 하지만 튀어나온 부위의 지름이 1cm미만이면 돌 이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