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출산/임신 금융상담사 2016. 2. 7. 15:51
출산후 영양관리 우리나라에서는 출산후 산모를 위한다면서 무조건 많이 먹고 푹 쉬라고 권합니다. 예전 산모들은 출산후 잘 먹지도 못하고 제대로 휴식을 취하지 못해서 그랬지만 이제는 시대가 바뀌었으니 산후조리 방법도 바뀌어야 합니다. 그 중 가장중요한 것이 산모가 무엇을 얼마나 어떻게 먹느냐입니다. 산모가 임신 전의 건강하고 아름다운 몸을 되찾기 위해서는 제대로된 영양관리가 첫 번째로 중요합니다. 보양식을 많이 먹지 않는다 출산을 했다고 해서 먹는 방법이 특별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임신 전에 먹던 것처럼 먹으면 된다. 특히 모유수유를 하지 않는다면 임신전과 같은 칼로리를 섭취해야 한다. 우리나라의 전통 산후조리는 많이 먹고 푹쉬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에 기름진 가물치나 우족탕등 고열량의 산후 보양식을 지나..
임신,출산/임신 금융상담사 2016. 2. 2. 15:21
배란은 난소에서 자궁쪽으로 난자를 배출하는 것을 말하고 수정은 난자와 정자가 하나로 합쳐지는 것을 말한다. 수정란이 자궁벽에 착상하여 영양분을 흡수하는 것을 착상이라고 하는데 배란 수정 착상은 임신의 과정이기도 하다 임신과정 배란 난소에서 자궁쪽으로 난자를 배출하는 것을 말한다. 배란이 되면 난자는 자궁쪽으로 이동한다. 배란이 잘 되지 않으면 생리불순이 생겨나는데 이는 불임의 원인이 되기도 하니 조기치료가 필요하다 임신과정 수정 수정은 난자와 정자가 하나로 합쳐지는 것을 말한다. 난자는 나관을 통해 자궁으로 이동하고 그동안 남성이 질 내부로 사정하면 정자는 자궁쪽으로 진입한다. 2억개의 정자중에서 난관까지 도달하는 정자는 100개 미만이다. 100개중에서도 단 1개의 정자만이 수정을 하는 것이다. 수정이..
임신,출산/임신 금융상담사 2016. 2. 1. 22:45
임신초기 검사 : 전신병력조사 주치의가 지금까지 임신부의 건강상태(나이,식습관,운동 여부,음주,흡연,약물복용)을 파악하기 위해 여러가지 묻는다. 만성질환 여부나 예전에 큰 병을 앓거나 수술을 받았는지, 복용중인 약물이 있는지, 알레르기가 있는지 확인하고 산부인과와 관련된 질문(초산인지 확인하고 유산,사산, 물혹여부, 생리주기가 일정한지)도 한다. 임신초기 검사 : 초음파검사 처음 병원에 방문한 시기가 임신8주 이후이면 아기의 심장박동을 모니터로 볼수 있다. 이 시기의 아기는 땅콩과 비슷한 모양으로 보인다. 혹시 뱃속 아기가 쌍둥이라면 이때 알려준다 임신초기 검사 : 신체검사,골반검사(내진) 임신부의 키와 몸무게, 혈압을 재고 내진 외에도 건강상태를 모두 체크한다. 만약 3~6개월 전에 신체검사를 전부 했..
임신,출산/임신 금융상담사 2016. 1. 31. 22:40
배란은 임신에 꼭 필요한 과정으로 여성의 난소 안에서 시작된다. 난소에는 난포라는 물주머니가 있는데 난자는 이 안에서 둥둥 뜬 채로 성숙한다. 고조기가 되면 뇌의 지시에 따라 난자를 배출시키는 호르몬이 분비된다. 성숙된 난자는 배란돼 난소 밖으로 나온 후 나팔관을 따라 자궁쪽으로 내려간다 몸의 변화에 신경을 쓰면 배란 사실을 알수 있다. 배란이 진행될 때 여성들이 느끼는 복부 증상을 배란통이라고 한다. 배가 더부룩하거나 경련이 있을때 배란된 쪽이나 반대쪽에 통증이 느껴질 때는 배란통이 의심된다. 배란된 난자가 정자를 만나지 못하면 죽으면서 사용할 일이 없어져 자궁내막과 함께 떨어져 나와 생리가 시작된다. 배란을 알려주는 증상 자궁경부에서 묽은 분비물이 나와 정자가 질을 따라 잘 올라가도록 돕는다. 때문에..
임신,출산/임신 금융상담사 2015. 12. 27. 16:57
당뇨병 가임기 여성들에게 흔한 질병으로 당뇨병이 있다. 당뇨병은 살아 있는 동안 꾸준히 관리를 해주어야 하는 병입니다. 임신중 당뇨가 위험한 이유는 태아가 거대아가 될 위험이 있으며 임신부에게는 망막손상이나 신장손상, 태아에게는 저산소증과 대사성 합병증 등의 위험률을 높이기 때문입니다. 당뇨병이 있는 경우, 음식, 운동, 약물, 생활습관등에 조금만 소홀해도 곧바로 반응이 나타납니다. 하지만 임신초기 1~3개월간 혈당조절을 잘하면 반은 성공입니다. 당뇨가 있더라도 식이요법과 꾸준한 운동, 인슐린 등으로 혈당조절에 노력을 기울이면 얼마든지 건강한 아기를 낳을수 있다. 갑상선 질환 갑상선 질환은 목에 있는 내분비샘인 갑상선이 이상을 일으켜 대사나 대사 속도를 조절하는 호르몬에 이상신호가 오는 질환입니다. 늘 ..
임신,출산/임신 금융상담사 2015. 12. 26. 16:44
초음파 검사를 하면 모체나 태아에게 더 좋은 결과가 나온다는 증거는 없지만 대부분의 임신부들이 임신 중에 적어도 한 번 이상은 초음파 검사를 받는다. 초음파 검사는 비록 화면상이지만 임신부가 뱃속아기를 만날수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임신부들이 좋아한다. 이것은 태아에게서 반향되는 고주파 음파가 컴퓨터 화면에 대응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원리를 이용한 것으로 임신부의 복부에 변환기를 문지르거나 질 속에 초음파 탐침을 삽입해서 한다. 복식 초음파와 질식 초음파 복식 초음파 검사를 받으려면 방광이 차 있어야 한다. 그래야 자궁을 골반강 밖으로 밀어내 초음파 장비에 충분히 노출될수 있다. 검사를 받기 전 약 1000cc정도의 물을 마시게 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물 대신 허브차, 과일주스, 맑은 수프, 소다수등 원하..
임신,출산/임신 금융상담사 2015. 12. 25. 16:39
입덧이란 냄새나 특정 음식에 대한 예민한 반응에서 심한구토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증세를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이것은 임신초기의 호르몬 변화, 물질대사 변화, 화학적인 변화에 원인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보통 마지막 생리가 시작된 날로부터 6주경에 시작해서 임신 중기 까지 계속되며 임신부의 60~80%가 경험하는 메스꺼움은 밤낮을 가리지 않고 언제든지 나타날수 있다. 다태아를 임신한 여성이나 피로를 잘 느끼는 여성에게 더 심하게 나타난다. 임신부들로서는 입덧이라는 전형적인 임신 증세가 조금도 달갑지 않을지 모르지만 입덧이 고마운 신호일 수 있다고 말하는 의학자들도 있다.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임신 초에 메스꺼움이나 구토를 전혀 또는 거의 느끼지 못하는 여성은 임신을 지속시키는 임신호르몬 수치가 높지 않..
임신,출산/임신 금융상담사 2015. 12. 24. 16:27
천식은 기관지를 둘러싼 근육들의 발작성 경련에 의해 공기의 흐름이 제한되는 질환으로 미국 가임 여성의 1%가량이 이병을 앓고 있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기침, 숨을 씩씩거림, 가슴이 답답함, 호흡 곤란등이 있다. 천식을 때로 먼지, 동물 비듬, 담배, 운동, 추위등의 환경적 요인에 대한 거부 반응으로 유발될수 있다. 따라서 천식 유발 요인을 피하고 제때 치료를 한다면 이겨낼수 있다. 임신 기간 동안 천식은 나아지거나 악화된다. 연구자들은 천식의 발병과 생식력 사이의 상관관계를 찾으려고 노력했지만 현재로서는 만족할 만한 답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소염제와 기관지 확장제등이 천식 치료에 사용되는데 이 약물들이 생식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 천식의 증상 추운 날씨에 활동하면 숨이 막히거나, 격렬한 ..
임신,출산/임신 금융상담사 2015. 12. 23. 16:21
임신부를 그린 만화를 보면 손을 허리에 얹고 몸을 뒤로 젖히고 있는 모습을 자주 볼수 있습니다. 이 시기가 되면 임신부들이 왜 한결같이 그런 자세를 하고 있는지 알게 될것입니다. 임신부들은 허리가 아파 양손으로 허리를 받치고 있는 것입니다. 임신중에 요통이 오는 원인 첫째. 임신호르몬인 프로게스테론이 출산시 잘 늘어날수 있도록 골반 부위의 뼈를 받치는 인대와 연결조직을 이완해 골반 부위에 통증을 유발하기 때문입니다. 둘째. 무거워진 자궁 때문에 무게중심이 달라져서 자세가 바뀌기 때문입니다 셋째. 갈비뼈에서 골반뼈까지 복부 전면을 지나가는 근육인 복직근이 임신 중에 분리되어 요통을 더욱 악화시키기 때문입니다. 임신중 요통 예방방법 요통의 원인을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요통을 어떻게 예방하고 대처하느냐가 더 ..
임신,출산/임신 금융상담사 2015. 5. 10. 04:30
임신검사 : 빈혈검사 임신중에는 빈혈예방이 굉장히 중요하기 때문에 임신초기, 중기, 말기 총 세번에 걸쳐서 빈혈검사를 하게 된다. 빈혈이 있는 임산부는 출산후 작은 출혈에도 생명이 위태로울수 있다. 출산후 태반이 자궁에서 떨어질때 출혈이 생기는데 자연분만일경우는 평균 500cc, 제왕절개의 경우는 평균 1000cc의 출혈이 일어난다. 임산부의 몸은 이런 출혈에 대비해 임신중에 혈액량이 증가하는데 증가한 혈액의 원료가 되는 철분제를 제때 충분히 보충하지 않으면 빈혈이 생긴다. 임신검사 : 혈액형검사 출산후 갑자기 수도꼭지를 틀은 것처럼 자궁에서 많은 출혈이 있을수 있는데 이때 수혈을 하려면 정확한 혈액형을 알아야 한다. 간혹 자신의 혈액형을 잘못 알거나 과거의 검사가 잘못되었을수도 있기 때문에 혈액형 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