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약 효능 및 작약 복용방법

작약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으로 길고 살찐 뿌리를 갖고 있으며 줄기는 곧게 서고 60cm안팎의 높이로 자랍니다. 잎은 서로 어긋나기를 하는데 두번에 걸쳐 3배의 잎 조각이 한 자리에 합쳐 나거나 한번 합치기도 합니다. 곷의 생김새가 모란과 비슷하나 꽃잎이 10~13장으로 많고 꽃이 피는 시기도 모란보다 조금 늦어 모란과 쉽게 구별할수 있습니다

꽃은 가지 끝에 각각 한송이씩 정생하며 대형이고 홍색 또는 백색으로 5~6월에 핍니다. 뿌리는 곧고 길며 방추형으로 다수이고 절단면은 적색을 띠는데 이 뿌리를 약용으로 사용합니다

 

 

 

 

 

작약은 관행적으로 뿌리를 가을에 채취하여 대나무칼로 외피를 제거한후 음건하거나 햇볕에 말려 사용하는 것입니다. 근래에는 원통형 회전식 박피기를 이용하여 껍질을 벗겨 내고 연탄건조를 시키는 방법을 많이 이용한다고 합니다. 그러나 연탄건조의 경우 뿌리의 색깔이 갈변하지 않고 색택이 좋아지는 장점은 있으나 약재 속에 이산화황이라고 하는 발암성 물질이 침착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고 합니다

최근에 개발된 생력화 건조가공기술인 무박피절단건조는 수확한 작약 뿌리를 박피기에 넣고 10분 정도만 회전시켜 세척만 하고 생작약을 절단하여 40℃로 열풍 건조하는 방법으로써 박피 및 건조시간을 절약하고 약효 성분의 유식을 막을수 있는 방법이라고 합니다

작약 뿌리의 성분은 파에오니플로린, 파에오놀, 파에오닌, 안식향산, 아스파라긴, 지방유, 타닌, 베타 시토스테롤등이 함유되어 있습니다

작약 뿌리의 효능은 진통, 해열, 진경, 이뇨, 조혈, 지환등의 효능을 지니고 있어 특히 복통, 위통, 두통등에 좋으며 설사복통, 월경불순, 월경이 멈추지 않는증세, 대하증, 식은땀 흘리는 증세, 신체허약, 치통등의 치료에 사용된다고 합니다

작약 복용방법은 말린 작약뿌리를 감초와 함께 1회 2~5g씩 300ml물을 넣고 약한 불에서 물의 양이 반이 되도록 달인다. 아침 저녘으로 식후에 약 2주일 정도 복용하거나 가루를 빻아서 복용하면 위경련, 신경통에 좋다고 합니다.

당기와 함께 달여도 효과가 좋으며 현기증, 월경불순등 부인병에 쓰는 사물탕에 작약은 천궁, 당귀, 지황과 함께 기본처방으로 들어간다고 합니다

'건강정보 > 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미꽃 효능  (0) 2014.09.13
감초 효능  (0) 2014.09.11
구기자 효능  (0) 2014.09.09
미나리 효능  (0) 2014.08.27
깻잎 효능 및 깻잎 보관방법  (0) 2014.08.25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