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 성분 및 감 효능

감나무속에 속하는 식품은 대략 약400여종이 있으며 대부분 아시아, 아프리카, 중남미의 열대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동아시아와 미국 일부, 이스라엘, 뉴질랜드가 주 재배지이다. 감은 내한성이 약한 온대과수로서 우리나라의 중부와 이북 지방에서는 재배가 어렵다. 감에는 단감과 떫은 감이 있는데 단감은 중부 이남 지방에서 떫은 감은 중부와 북부지방에서 주로 재배된다. 단감의 주산지는 창원, 김해, 진주, 밀양, 창녕, 떫은 감의 주산지는 청도 상주 산청 영암 하동 영동등이다

감은 재배감과 야생감으로 구별한다. 또 떫은맛이나 종자 유무, 갈반형성과의 관계에 따라 완전 단감, 불완전 단감, 불완전 떫은 감, 완전 떫은 감의 4군으로 나누어진다. 단감은 과일 자체가 단맛이 있는 것으로 주로 곶감을 만든다. 반면에 땡감은 단감보다 단맛이 적고 과육의 색이 단감에 비해 진한 주황색이다. 감의 떫은맛을 없애는 과정을 탈삽이라고 하며 탈삽의 방법에는 온탕법과 알코올법이 있다

감 성분

감은 당질이 주성분으로 약14%가 함유되어 있으며 주로 자당, 포도당, 과당으로 구성된다. 감의 노란색은 카로티노이드 색소로 카로틴이 많아 비타민A의 좋은 급원이 된다. 비타민C도 풍부한데 감보다 감잎에 약10~20배정도가 많다

미숙한 감은 떫은맛을 내는데 이것은 타닌의 일종인 시부올 때문이다. 시부올은 수용성 성분으로 혀에 녹아 떫은맛을 낸다. 그러나 감이 익으면 호흡에 의해 생긴 알데하이드가 시부올과 결합하여 불용성 콜로이드로 바뀌면서 과숙할수록 떫은맛이 없어진다. 감의 타닌은 철분과 결합하여 빈혈을 유발하거나 수렴작용으로 변비를 유발할수도 있다.

'건강정보 > 음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 이용  (0) 2015.07.11
[감귤류]온주밀감,오렌지  (0) 2015.07.10
배 성분및 효능  (0) 2015.07.07
사과 성분  (0) 2015.07.06
상황버섯,동충하초 선택법  (0) 2015.07.04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