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밀을 약으로 먹으려면
- 건강정보/음식
- 2015. 3. 5. 04:30
뱃속에 응어리가 쌓여 있고 배가 더부룩하면서 아플 때는 무씨, 즉 나복자와 함께 가루내어 따뜻한 물로 마시거나 죽을 끓여 먹으면 좋습니다. 또 메밀가루를 설탕물에 풀어 마시면 이질을 다스리고, 볶아서 뜨거운 물로 마시면 건곽란, 즉 장이 꼬이듯이 아프면서 토하지 못하고 대변도 나오지 않아 뱃속에 부패물질이 맺혀있는 위중한 병증을 다스릴수 있다고 합니다. 중국에서는 메밀 줄기와 잎을 고혈압에 쓰며 뇌출혈 예방에도 이용한다고 합니다.
복수가 찰때 메밀을 볶아 가루를 낸 뒤 뜨거운 물을 붓고 반죽한 다음 창호지에 발라서 배에 붙이면 효과를 볼수 있다고 합니다. 끓는 물에 화상을 입었을 때는 메밀을 볶아서 맑은 물에 개어 붙이면 열이 내리고 진물이 덜 흐르게 되며 상처부위에 새살이 잘 돋아나게 됩니다. 아이들의 피부에 뜨거운 기름방울이 튀어 벌겋게 부풀어 오르고 아플 때는 메밀가루에 식초를 넣고 잘 섞어서 붙이면 효과가 좋다고 합니다.
한편 메밀껍질은 베갯속으로 만이 쓰이는데 서늘한 성질이어서 머리를 시원하게 하므로 건망증이나 치매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어떤 음식이든 몸에 맞더라도 너무 많이 먹으면 탈이 날수 있습니다. 메밀도 많이 먹으면 어지럼증이 생길수 있고 다른 병이 발동할 우려도 있습니다. 어떤 의서에는 메밀을 오래 먹으면 풍이 동한다고 나와 있습니다.
겨자는 메밀의 찬 기운을 완화해주고 무는 메밀의 독을 풀어줍니다. 그래서 냉면에는 무채가 들어가고 메밀국수에는 무즙이 빠지지 않는 것이죠. 한의서에도 메밀의 독을 풀려면 무를 찧어서 즙을 마시거나 무씨를 갈아서 물로 마시라고 하였으므로 메밀국수를 먹을 때는 무를 함께 먹는 것이 좋습니다. 이때 오이나 배를 함께 먹으면 서늘한 기운이 보강되어 속열을 풀어주는 효과가 강해집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