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맥경화증 진행을 늦추기 위해 고지혈증, 당뇨, 고혈압 치료를 받고 식습관을 개선하며 운동효과와 금연에 관한 교육을 받아야 한다
고지혈증을 치료한다
소식과 채식을 하며 저칼로리 저지방 식이요법과 규칙적인 운동을 한다. 비만인 사람은 체중을 감량해야 한다. 3~4개월간의 식이요법과 운동요법으로도 혈중 콜레스테롤이 목표 수준까지 떨어지지 않으면 지질 수치를 떨어뜨리는 약제를 처방받아 복용해야 한다
고혈압을 치료한다
목표 혈압을 140/90mmHg이하로 낮춘다. 특히 고혈압에 의해 신장이 손상되어 단백뇨가 있다든지 당뇨병이나 심부전이 있는 경우 혈압을 130.80mmHg로 유지하도록 더 엄격하게 조절한다. 이를 위해 저염식과 규칙적인 운동을 해야 한다. 물로 필요하면 항고혈압약제도 복용해야 한다
반드시 금연한다
흡연은 동맥경화증과 폐암, 폐기종에 좋지 않으므로 반드시 금연해야 한다
당뇨병을 치료한다
당뇨병은 동맥경화를 빠르게 진행시키는 가장 위험한 질병이므로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 혈당을 높지 않게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의사의 지시에 따라 당뇨병 약제나 인슐린을 투여하고 식습관을 조절하여 적당한 혈당을 유지해야 한다
필요한 약물을 복용한다
혈전의 원인이 되는 혈소판 응고를 막기 위해 저용량의 아스피린을 복용하거나 그 외 혈액 순환을 돕는 약물을 처방받아 이용한다
금주와 운동
금주와 운동은 동맥경화증의 진행과 합병증을 막는 중요한 치료 방법 중 하나입니다
동맥경화증의 주요 원인인 고지혈증, 고혈압, 당뇨병은 반드시 의사에게 도움을 받아 치료해야 합니다. 혈압과 혈당을 잘 조절하면 동맥경화증이 진행되는 속도를 늦출수 있으므로 적극적인 치료와 노력이 필요합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생아 어린이 감기의 증상 (0) | 2014.03.06 |
---|---|
EB바이러스 감염증(전염성단핵구증,선열)의 증상 (0) | 2014.03.05 |
볼거리 이외의 이하선염 (0) | 2014.03.02 |
성인 볼거리 (0) | 2014.03.01 |
볼거리(유행성 이하선염)의 증상 (0) | 2014.02.28 |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