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천성 담도폐쇄증 증상
- 건강정보
- 2014. 1. 24. 16:51
우선 선천성 담도폐쇄증의 증상으로는 황달, 백색변, 황색뇨를 들수 있습니다. 그러면 어째서 이러한 증상이 나타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황달은 혈액 속의 빌리루빈 농도가 높아져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빌리루빈이란 혈액 속의 색소인 적혈구가 파괴되어 생기는 물질입니다. 비장에서 적혈구가 파괴되면서 생긴 빌리루빈은 간으로 이동하여 담즙 속에 섞입니다. 그후 빌리루빈이 포함된 담즙은 담도를 통해 십이지장으로 흘러 들어 갑니다
그러나 담도폐쇄증이 있으면 담도가 막혀서 십이지장으로 담즙이 흘러 들어가지 못합니다. 그 결과 빌리루빈이 혈액 속으로 역류하여 혈액 속의 빌리루빈 농도가 높아지게 됩니다. 이 빌리루빈 색소가 겉으로 비쳐 보이는 상태, 즉 피부가 노랗게 변한 상태가 바로 황달입니다
이렇게 되면 답즙이 십이지장으로 흘러 들어가지 못하므로 대변에 빌리루빈이 섞이지 않아 변 색깔이 희게 변합니다. 그리고 혈중 빌리루빈 농도가 높아지면 신장으로 가는 혈액 속에 들어 있는 빌리루빈의 양도 늘어납니다. 그 결과 소변속에 빌리루빈이 많이 들어가므로 소변 색깔이 샛노랗게 변합니다. 이것이 바로 황색뇨입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생아 선천성 신장질환-선천성 수신증 (0) | 2014.01.26 |
---|---|
선천성 거대결장증 (0) | 2014.01.25 |
신생아 선천성 심장병을 발견하는 계기는? (0) | 2014.01.19 |
아이 복통 (0) | 2014.01.04 |
관상동맥질환중 불안정형 협심증 (0) | 2013.12.30 |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