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신 고혈압관리

당신이 혈압이 높다면 이미 산과의사뿐만 아니라 내과의사, 심장병 전문의 등으로부터 진찰을 받았을 것이다. 그래도 긴가민가하다면 혈압을 체크해보자. 대부분의 사람들은 혈압이 높아도 별다른 증상이 없다.

두통은 보통 고혈압의 첫째 증상으로 생각되지만 심각한 경우에만 생긴다. 혈압이 높으면 최소한 3개월간은 건강한 식이요법과 운동 처방으로 혈압을 조절한 뒤 임신을 시도한다.

 

만약 혈압을 조절하지 못하면 다음과 같은 위험에 빠질수가 있다.

  • 뇌졸증과 심장발작

  • 유산과 사산

  • 태아의 저체중 또는 발육 장애

  • 임신으로 인한 고혈압 또는 자간전증

 

놀랍게도 성인 고혈압의 95%이상이 원인 불명이다. 젊은 여성의 5%는 경구 피임약, 신장병 약, 부신병 약 같은 호르몬제의 복용이나 선천성 심장병으로 인해 혈압이 높다. 따라서 임신을 게획하고 있다면 미리 관련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고혈압 관리

혈압 체크와 소변 검사를 포함한 건강 검진을 받는다

신장 기능을 알아보기 위해 심전도검사, 콜레스테롤검사, 혈액검사등을 한다

고혈압 약을 복용한다면 태아에 안전한지 확인한다. 안전하지 않다면 의사와 대체 약을 상의한다.

 

임신 전후에 가장 안전한 혈압 약은 프로파놀롤, 아테놀롤, 라베타롤, 그리고 메틸도파 같은 베타차단제 들이다. 이뇨제는 고혈압 치료에 흔히 사용되며 임신 중에 대체로 안전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임신했을때는 혈액량을 조절하기 쉽지 않으므로 임신 중에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식이나 장의 질병 때문에 칼슘 결핍이 있다면 칼슘을 공급해주는 것이 혈압을 낮추는데 도움이 된다.

'임신,출산 > 임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신 빈혈  (0) 2015.02.15
임신전 심장 건강에 이로운 식이  (0) 2015.02.13
고프로락틴혈증  (0) 2015.02.11
갑상선기능항진증 증상  (0) 2015.02.10
갑상선기능저하증 증상  (0) 2015.02.09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