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염증이 다른 사람에게 전염되는 이유
- 건강정보
- 2014. 2. 2. 02:00
감염증이 전파되는 것은 감염자의 체내에 있는 병원성 미생물이 다른 사람의 몸속으로 옮겨가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A라는 사람의 목에 어떤 미생물이 달라붙어 증식했다고 보면 A가 재채기를 하거나 기침을 하면서 미생물이 입 밖으로 튀어 나옵니다
공기중을 부유하던 미생물이 B의 입속으로 들어가 B의 목에 달라붙습니다. 그 결과 미생물이 증식하여 B가 병에 걸렸다면 A는 B에게 병을 옮긴 것이 됩니다
하지만 그 과정을 직접 눈으로 확인 할수는 없습니다. 병원성 미생물이 육안으로 확인이 불가능할 만큼 작기 때문입니다.
병원성 미생물은 원충, 진균, 세균, 바이러스 같은 종류로 나누어 볼수가 있습니다
크키가 큰것부터는 원충이 가장 크고 바이러스가 가장 작으며 이 중 원충, 진균, 세균은 일반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바이러스는 전자현미경이라는 특별한 현미경이 있어야만 겨우 볼수 있습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병원성 미생물 세균 : 상주균 (0) | 2014.02.05 |
---|---|
[유아]병원성 미생물이 일으키는 주요 질병 (0) | 2014.02.04 |
어린이 감염증 (0) | 2014.02.01 |
신생아 선천성 신장질환-선천성 수신증 (0) | 2014.01.26 |
선천성 거대결장증 (0) | 2014.01.25 |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