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엽이라 하는데 순전히 양의 성질로서 경락과 기, 혈을 잘 소통시키며 차고 습한 기운을 몰아내므로 한약재로 두루 쓰입니다. 뱃속을 덥혀주므로 냉복통, 설사, 이질, 곽란치료에 효과가 큽니다.
예전에는 코피가 나거나 상처가 생겨 피가 나올때 쑥을 비벼서 붙여 출혈을 멎게 하였습니다 쑥이 지혈작용이 뛰어나기 때문인데 피를 토할 때는 생즙을 마시는 것이 좋고 대변에 피가 섞여 나오거나 자궁출혈이 있을때는 달여 마시면 됩니다.
혈과 기가 찬 기운으로 맺혀 있을때 씁니다. 자궁을 따뜻하게 하여 월경이 불순하거나 냉증이 있는 여성에게 가장 적합한 약입니다. 그 뿐만 아니라 임신부의 태를 튼튼하게 하는 효능이 있으므로 태아가 빈번하게 요동하여 배가 아프고 아래로 뻗쳐 내려오는 느낌이 있는 태동불안증에도 좋습니다.
쑥이 맞지 않는 경우는 몸이 허약하고 수척하여 살집이 적은 사람이 쑥을 먹으면 기혈이 왕성하게 되어 살이 찔수 있습니다. 음기가 허약하며 열이 많은 사람에게는 마땅하지 않습니다.
쑥은 먹어도 좋지만 뜸으로도 효과를 봅니다. 따뜻한 기운이 피부를 통하여 경락으로 들어가게 해서 찬 기운을 몰아내며 양기를 넣어주고 기를 소통시켜 주는 것입니다.
정력을 보강하거나 원기부족, 성기능장애를 치료하려면 배꼽 아래 부위에 뜸을 합니다. 의식을 잃었거나 곽란, 복통, 설사등에는 배꼽에 뜸을 해야 합니다 배꼽 상부에 뜸을 하면 비장, 위장이 허약하고 냉하여 소화장애와 복통이 있을때 좋고, 배꼽 좌우에 하면 대장염, 만성설사, 이질등에 효과가 있습니다.
그밖에 여성의 월경불순과 냉증, 불임 그리고 관절통에도 쑥뜸이 좋습니다. 이처럼 쑥뜸이 효과가 크지만 쑥이 양의 성질이 너무 강하고 건조하게 하므로 음기와 혈이 허약하고 열이 오르는 사람은 주의해야 합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