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발성무월경,원발성무월경 증상 및 치료

속발성무월경, 원발성무월경

월경주기와 맞물린 신체이상으로 발생하는 속발성 무월경

주기적이던 월경이 임신이나 폐경이외의 이유로 3개월 이상 정지된 상태를 속발성무월경이라 합니다. 심리적으로 스트레스를 받으면 배란장애가 발생해 여성호르몬의 균형이 깨지는데 이때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월경은 뇌와 여성 호르몬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나는 주기적 신체활동이므로 시상하부, 뇌하수체, 난소, 자궁 그 어느 한곳에 이상이 생기면 배란이나 월경이 정상적으로 일어나지 않게 됩니다.

이상이 쉽게 발생하는 시상하부는 식욕이나 감정등을 조절하는 중요한 부분으로 정신적, 신체적 스트레스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과도한 다이어트나 식이장애(식사행동과 체중, 체형에 이상을 보이는 장애, 거식증, 폭식증, 습관성 과식증)로 인한 심한 체중 감소 혹은 체중 증가, 업무상 정신적 피로나 과로가 시상하부의 기능이상을 초래한다고 볼수 있습니다

18세가 되어도 초경이 없는 원발성무월경

우리나라 여성의 평균 초경나이는 12~13세, 늦어도 15세까지는 대부분 초경을 맞는데 18세가 되어도 초경이 없으면 원발성 무월경이라 합니다. 그 원인은 호르몬 이상과 염색체 이상으로 인한 기능 이상과 질, 난소, 자궁이 없는 기질적이상으로 나뉩니다.

속발성무월경의 증상

임신이나 폐경과 같은 생리적 이유 없이 월경이 나타나지 않는다

주기적이던 월경이 3개월 이상 머추었다

원발성무월경의 증상

18세가 되어도 초경을 하지 않는다

속발성무월경, 원발성무월경 진단 및 치료

무월경은 채혈하여 월경주기의 이상 원인을 파악합니다. 결과가 나오면 적절한 호르몬 치료를 합니다. 식이장애나 과도한 스트레스가 원인인 경우는 상담을 병행하기도 합니다. 심한 저체중이라면 월경이 빨리 돌아오는게 오히려 해로울수 있습니다.

초경을 시작한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는 미성숙으로 인한 생리불순이 드물치않게 나타나므로 경과를 지켜봅니다. 진찰시에는 배란의 유무를 알수 있도록 기초체온표를 지참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