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방접종]꼭필요한 기본접종

B형 간염

여러가지 백신이 있는데 1차 접종한 백신으로 계속하는 것이 보통이빈다. 그러나 최근에는 제품간의 교차접종도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생후 4주이내에 2차, 생후 6개월 내에 3차 접종을 합니다. 산모가 B형 간염 보균자인 경우에는 생후 9개월 정도에 반드시 항체 생성여부를 확인해야 합니다. 이때 항체가 없으면 다시 3회에 걸쳐 접종합니다.

BCG

결핵에 대한 면역력을 길러주는 예방접종입니다. 완벽하게 막아주지는 못하지만 어린 아이일 경우, 결핵 감염에 따른 합병증을 예방해 준다고 합니다. 접종 한달쯤 후에 주사 맞은 부위가 곪거나 붓기도 합니다. 이때 소독하거나 고름을 닦지 말아야 합니다.

DPT

디프테리아, 백일해, 파상풍의 세가지를 섞어서 만든 백신입니다. 생후 2개월에서부터 4개월, 6개월, 18개월, 4~6세에 걸쳐 5회 접종을 기본으로 합니다. 각각 다른 부위에 맞는 것이 원칙이라고 합니다.

소아마비(폴리오)

입으로 투여하는 경구용 백신과 주사로 투여하는 백신등, 두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상대적으로 더 안전한 주사용 백신을 주로 사용합니다. 경구용 백신 접종 후 아주 드물게 살짝 마비 증세가 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MMR

홍역, 볼거리, 풍진의 혼합백신입니다. 생후 12~15개월째에 수두와 함께 접종할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2차 접종은 4~6세에 받는 것을 추천하지만 1차 접종후 1개월만 지나면 2차 접종을 할수 있다고 합니다. 1차 접종을 받고 1개월 이상 경과한후에 2차 접종을 했다면 만 4~6세에 받는 2차 접종은 필요 없습니다. 단, 홍역이 유행할때는 생후 6개월부터 홍역만 단독으로 접종합니다

수두

전염성이 강하고 흉터를 남길수 있어 거의 기본접종처럼 맞힙니다. 접종후 수두에 걸릴수 있지만 약하게 지나가거나 물집도 덜 잡힙니다. 수두 예방주사는 반드시 돌 이후에 1회 받아야 합니다.

독감

인플루엔자 균에 감염되어 앓게 되는 독감입니다. 생후 6~23개월에는 기본접종, 그 이상의 나이에는 선택접종입니다. 증세는 감기와 비슷하지만 전혀 다른 병입니다. 보통 70~90%정도 예방률을 보이고 중이염, 폐렴, 기관지염등의 합병증을 줄여줍니다. 생후 6개월에 접종하며 접종 첫해에는 4주 간격으로 2회, 만 9세 이상은 1회 접종하면 됩니다. 다음해에는 1회 접종합니다

일본뇌염

돌 지나서 1차 접종을 하고 일주일 후에 2차 접종, 그리고 일년 후에 한번 더 받습니다. 그리고 만6세, 만12세에 추가접종을 해야 합니다.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아]감기 원인 및 증세  (0) 2014.12.09
[육아]응급처치 기본원칙  (0) 2014.12.07
아이 병원 갈때 챙겨야 할 것은?  (0) 2014.11.28
아이가 녹색변을 볼때  (0) 2014.11.19
제대혈이란?  (0) 2014.11.14

이 글을 공유하기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